Next-BlockChai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Next-BlockChain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분류 전체보기 (387) N
    • Computer Science (5)
      • OS (3)
      • Network (1)
    • Blockchain (126) N
      • Bitcoin (3)
      • Ethereum (17)
      • Cosmos (4)
      • DeFi (13)
      • DID (3)
      • NFT (7)
      • Oracle (8)
      • BlockChain Theory (25)
      • BlockChain-Core (1)
    • Dev (27)
      • React (6)
      • NodeJS (4)
      • Golang-Backend (2)
      • DevOps (2)
      • NoSQL (4)
      • Security (8)
    • Programming Language (201)
      • Go (60)
      • Solidity (40)
      • HTML (2)
      • JavaScript (97)
      • CSS (2)
    • 독서 (19)
      • 독후감 (19)
    • AI (2) N

검색 레이어

Next-BlockChain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Blockchain

  • 지분증명 (PoS)

    2023.02.02 by 0xRobert

  • 작업증명(PoW)

    2023.02.02 by 0xRobert

  • 채굴 시스템

    2023.02.01 by 0xRobert

  • 채굴 풀(Mining Pool)

    2023.02.01 by 0xRobert

  • Docker로 우분투 실행하고 Geth 설치하기

    2023.01.30 by 0xRobert

  • 간략히 알아보는 프루닝

    2023.01.26 by 0xRobert

  • 블룸필터 - Bloom Filter

    2023.01.26 by 0xRobert

  • 비트코인의 업데이트 세그윗과 탭루트(Tap root)

    2023.01.26 by 0xRobert

지분증명 (PoS)

PoS(지분 증명 합의 알고리즘) PoS(지분 증명)은 Proof of Stake의 약자로 암호화폐를 보유하고 있는 지분율에 비례하여 채굴을 할 수 있게 해주는 합의 알고리즘입니다. 지분 증명(PoS)는 네트워크 참여자 모두가 블록을 생성할 기회를 갖게되는 방식인데 가지고 있는 지분이 많을수록 블록 생성 기회를 더 얻습니다. 지분 증명(PoS)의 장점 PoW와는 달리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입니다. 스테이킹(Staking)한 자산을 통해 블록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코인을 네트워크에 스테이킹 해야하기 때문에 다른 코인으로 이탈할 가능성이 적습니다. 지분 증명(PoS)의 단점 1. 불완전한 해결책 : 지분증명(PoS)방식 시스템은 체인 선택에 대한 해결책만 제시했습니다. 다른 문제점에 대한 해답은 제시하지 못했..

Blockchain 2023. 2. 2. 20:22

작업증명(PoW)

작업증명(PoW)의 정의 작업 증명(PoW)은 Proof of Work의 약자이며 목표값 이하의 해시를 찾는 과정을 무수히 반복하면서 해당 작업에 참여했음을 증명하는 방식의 합의 알고리즘이다. PoW의 대표코인으로는 비트코인과 비트코인 캐시가 있다. Proof : 증거(물), 증명(서), 입증, 증명 Work : 일하다, 작업하다, 일, 직장, 직업, 업무, 직무 논스(임시값)를 찾는 방법 우선 논스(nonce)가 무엇인지 알아볼까요? 해시넷위키에 적힌 설명에 따르면 논스(nonce)는 블록체인에서 목표값 이하의 블록 해시를 찾기 위해 임시로 사용하는 숫자이다. 넌스, 난스 또는 임시값이라고도 한다. 국내에는 "논스"라는 이름의 크립토 커뮤니티 겸 스타트업도 있다. 그렇다면 비트코인에서 논스를 찾는 방법..

Blockchain/BlockChain Theory 2023. 2. 2. 15:30

채굴 시스템

CPU(Central Processing Unit) 채굴 CPU는 중앙처리장치라는 뜻으로 컴퓨터에서 대뇌역할을 하며 기억, 해석, 연산, 제어라는 4대 주요기능을 관할하는 장치다. 자세한 내용은 위키를 참조하면 된다. CPU - 나무위키 1970년대 초 단일 칩이라는 형태로 CPU가 발명된 이후 CPU의 기술은 아래와 같은 궤적을 따라 여러 방면으로 방산-발전하여 오늘날 다종다양한 산업체를 구성하게 되었으며 PC용 프로세서의 경우 20 namu.wiki 비트코인 초기에 오리지널 비트코인 클라이언트에서 사용할 수 있었던 첫번째 타입의 방식이다. 비트코인이 탄생하고 1년 정도 CPU 채굴이 사용되다가 채굴자가 많아져서 더 이상 이익이 되지 않아서 다른 채굴방법으로 대체되었다. GPU (Graphics Pro..

Blockchain/BlockChain Theory 2023. 2. 1. 08:36

채굴 풀(Mining Pool)

채굴 풀(Mining Pool) 채굴 풀(Mining Pool)은 채굴하는 채굴자들이 모여서 만들어진 채굴자 조합입니다. 해시넷 위키의 설명을 덧붙이자면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암호화폐를 채굴하기 위해 여러 대의 채굴기를 연결하여 마치 1대의 슈퍼컴퓨터처럼 작동하도록 만든 네트워크를 말한다고 합니다. 반대말은 솔로 마이닝이라고 합니다. 해시넷 위키 내용참조 : 링크 마이닝풀 - 해시넷 마이닝풀(mining pool)이란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암호화폐를 채굴하기 위해 여러 대의 채굴기를 연결하여 마치 1대의 슈퍼컴퓨터처럼 작동하도록 만든 네트워크를 말한다. 채굴풀 또는 채굴조합 wiki.hash.kr 주요 마이닝풀은 다음과 같습니다. 앤트풀(Antpool) 세계 최대의 마이닝 풀 : 링크 앤트풀 - 해시..

Blockchain/BlockChain Theory 2023. 2. 1. 07:25

Docker로 우분투 실행하고 Geth 설치하기

순서 1. Docker로 우분투 실행하기 2. 실행한 우분투에서 geth(ethereum 1.0 / pow) 설치하기 Docker란? 컨테이너 기반의 오픈소스 가상화 플랫폼입니다. 쉽게 말하면 OS와 격리된 가상화된 경량 컨테이너입니다. Docker를 사용하는 이유 : 도커허브 이미지와 docker-compose.yml의 설정으로 프로그램을 편안하게 설치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서버(로컬호스트)에 포트만 변경해서 동일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Docker 설치 다음 링크를 통해 Docker 설치 Docker 엔진 설치 : 링크 Install Docker Engine on Ubuntu docs.docker.com Docker Compose 설치 : 링크 Overview docs.docker.com..

Blockchain/Ethereum 2023. 1. 30. 20:13

간략히 알아보는 프루닝

프루닝(Pruning)은 경량화 기법의 하나로 인공지능 분야에서 불필요한 노드를 제거하는 기술이다. 비트코인 프루닝 비트코인이 네트워크 성장과 함께 스토리지도 함께 커지고 있었다. 그래서 이 문제를 지속해서 해결하고자 도입한 것이 Block file pruning이다. 비트코인 코어 개발팀이 이 기능을 추가했고 비트코인에서 참조할 가능성이 없는 불필요한 데이터를 삭제함으로써 비트코인 레지스터 용량을 최적화했다. 이로써 작은 버전의 Full Blockchain을 실행할 수 있었고 prune mode의 지갑을 실행하면 오래된 체인 기록을 삭제하기 때문에 디스크 공간을 최적화할 수 있었다. 이렇게 프루닝이 가능했던 이유는 블록을 실행/검증하는데 블록 내 트랜잭션 Input / Output만 사용하면 되기 때문..

Blockchain/BlockChain Theory 2023. 1. 26. 22:07

블룸필터 - Bloom Filter

블룸필터란? 블룸필터(Bloom Filter)는 특정 원소가 집합에 속하는지 검사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확률형 자료구조다. 확률적 검색 필터로 우너하는 패턴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규정할 필요 없이 원하는 패턴을 설명하는 방식 블룸필터는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면서 검색 패턴을 구현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을 제공함 SPV(Simplified Payment Verification)노드는 블록헤더만을 저장하여 거래의 유효성을 높이는 노드인데 블룸필터를 사용해서 이웃노드들에게 특정 거래를 제공해달라고 요청하는 데 이 떄 노드는 검색중인 주소에 대해 정확히 밝힐 필요가 없음 블룸필터 동작 방식 블룸필터는 m 비트 크기의 비트 배열구조를 가지고 k가지의 해시함수를 사용해서 입력된 원소에 대해 m가지의 값을 균등한 확률로..

Blockchain/BlockChain Theory 2023. 1. 26. 21:13

비트코인의 업데이트 세그윗과 탭루트(Tap root)

세그윗이란? 2017년에 진행한 업그레이드인 세그윗이란 (Segregated + Witness)은 "분리된 증인"이라는 뜻으로 비트코인 블록에서 서명을 분리해 블록당 저장 용량을 늘리는 소프트포크다. 비트코인에서 서명은 거래 이후 남는 흔적이다. 거래자가 본인이라는 사실을 증명하기 위해 개인키로 서명을 하면 거래가 블록체인에 기록되는데 세그윗은 1개 블록의 1MB로 제한되어 있는 비트코인 특성상 서명을 분리함으로써 블록당 처리량을 블록당 처리량을 개선하는데 초점을 맞춘 업그레이드다. 즉 서명데이터를 제거해서 블록 크기 제한을 늘리는 프로세스다. 세그윗 적용 기존 비트코인 대비 약 1.6배 많은 거래 처리 가능 기존 비트코인의 버그였던 거래 가변성 문제 해결 세그윗 한계 코드 복잡성 증가: 향후 사이드 이..

Blockchain/BlockChain Theory 2023. 1. 26. 16:27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11 12 13 14 15 16
다음
TISTORY
Next-BlockChain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