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xt-BlockChai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Next-BlockChain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분류 전체보기 (358)
    • Computer Science (19)
      • OS (3)
      • Network (1)
      • NoSQL (4)
      • DevOps (2)
      • Security (8)
    • Blockchain (94)
      • BlockChain Theory (25)
      • Bitcoin (3)
      • Ethereum (17)
      • Cosmos (4)
      • DeFi (13)
      • DID (3)
      • NFT (7)
      • Oracle - Chainlink (8)
      • Geth_2019_(NAKsir-melody)님자.. (1)
    • Web (13)
      • React (6)
      • NodeJS (4)
      • Echo (2)
    • Programming Language (201)
      • Go (60)
      • Solidity (40)
      • HTML (2)
      • JavaScript (97)
      • CSS (2)
    • 독서 (19)
      • 독후감 (19)
    • 교양 (6)
      • 국어 (4)
      • 영어 (1)
      • 인물 (1)
    • 경제 (0)

검색 레이어

Next-BlockChain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Blockchain/BlockChain Theory

  • 블록체인 보안 - 51% 공격

    2023.02.17 by Yongari

  • 스마트 컨트랙트와 UTXO

    2023.02.05 by Yongari

  • 블록체인 노드의 종류

    2023.02.03 by Yongari

  • 하드포크(Hard Fork)와 소프트포크(Soft Fork)

    2023.02.03 by Yongari

  • 채굴 알고리즘

    2023.02.02 by Yongari

  • 거버넌스 블록체인 - Klaytn

    2023.02.02 by Yongari

  • 작업증명(PoW)

    2023.02.02 by Yongari

  • 채굴 시스템

    2023.02.01 by Yongari

블록체인 보안 - 51% 공격

51% 공격이란? 51% 공격은 단일 주체나 조직이 대다수 해시파워를 차지해서 네트워크를 중단시킬 수 있는 공격이다. 악의적인 주체가 충분한 채굴파워를 가지고 있으면 다른 사람이 발생시킨 트랜잭션을 되돌릴 수 있는데 이것은 이중지불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이중지불이란 이미 지불된 금액에 대해 다시한번 금액 또 지불되는 문제인데 이럴 경우 100만원을 출금신청했으나 내 의지와 상관없이 계좌에서 또 100만원이 추가로 출금되는 것과 비슷한 현상이다. 51% 공격의 동작방식 1. 공격자는 네트워크 전체 해시파워의 50% 이상을 확보한다. 그리고 블록을 채굴한다. 2. 블록채굴시 피어들에게 전파하지않고 혼자 가지고 있는다. 3. 공격자의 해시파워가 나머지 네트워크 전체 해시파워보다 높기 때문에 블록생성이 더 ..

Blockchain/BlockChain Theory 2023. 2. 17. 18:15

스마트 컨트랙트와 UTXO

스마트 컨트랙트란? 스마트 컨트렉트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호스팅되고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다. 조건을 지정해두고 해당조건이 되면 프로그래밍에 따라 실행되는 계약이다. 이더리움이 스마트 컨트랙트로 유명하지만 블록체인도 간단한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이 있다. 스마트 컨트랙트의 장점 보안 : 계약에 대한 중앙화된 공격이 없고 프로그래밍된 계약이다. 신뢰성: 스마트 컨트랙트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실행되다보니 위변조가 어렵고 정확하다. 공평성 : 영리적 목적의 중개자가 따로 없다. 효율성 : 계약이행을 자동화해서 수동으로 업무처리할 것이 없다. UTXO 동작 원리 UTXO = Unspent Transaction Outputs의 약자로 "사용되지 않은 트랜잭션 출력"이라는 뜻이다. UTXO의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

Blockchain/BlockChain Theory 2023. 2. 5. 22:52

블록체인 노드의 종류

블록체인의 노드도 기능에 따라 여러가지가 존재합니다. 또는 특정 합의알고리즘에 따라 존재하거나 특정 블록체인 시스템에서만 존재하는 노드도 있습니다. 다음은 그 노드의 종류들입니다. 지갑(Wallet) 노드 지갑은 사용자의 개인 키와 공개키를 관리하고 거래에 사용하는 주소를 생성하는 기능을 담당합니다. 풀 노드 (Full Node) 풀 노드는 블록체인에서 이뤄진 모든 거래정보를 전부 저장하는 노드입니다. 제네시스 블록부터 시작해서 현재 블록까지 모든 블록체인 정보를 수집, 저장합니다. 블록체인은 주요 데이터를 여러 풀 노드가 함께 보관해서 해킹이 불가능합니다. 장점 : 모든 블록체인의 내용이 다 있어서 스스로 거래검증 가능 단점 : 용량이 너무 커서 다운로드받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하드디스크의 용량을 많..

Blockchain/BlockChain Theory 2023. 2. 3. 21:56

하드포크(Hard Fork)와 소프트포크(Soft Fork)

하드포크(Hard Fork) 하드포크(Hard Fork)는 블록체인의 기본 기능 자체를 수정하는 포크를 말하며 블록체인의 문제 해결 및 업그레이드 방식의 하나로서 업그레이드 이후에는 기존 문제를 해결하고 이전 블록체인과 전혀 다른 프로토콜을 가지는 블록체인이 된다. 하드포크 이후에 채굴노드들은 새 버전으로 강제 업그레이드를 해야해서 하드(Hard)포크라 한다. 하드포크의 반대말은 소프트포크(Soft Fork)다. 이더리움 클래식 대표적인 하드포크 사례로는 이더리움에서는 이더리움과 이더리움 클래식이 하드포크를 했던 DAO 사건이 있다. 간략히 말하면 이더리움 창업자들이 2016년 4월 28일 탈중앙화 자치조칙 "DAO"(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을 크라우드펀딩으로..

Blockchain/BlockChain Theory 2023. 2. 3. 21:41

채굴 알고리즘

SHA256 : 블록체인에서 가장 많이 채택하여 사용되고 있는 암호방식, 단방향이고 복호화 방법이 아직 밝혀지지 않음 보통 SHA-2라고 하면 모두 SHA-256으로 말할 정도로 상용화가 잘되어 있음 X11 : X계열 해시 알고리즘 중 가장 널리 쓰이고 있고 GPU에 의한 채굴이 가장 효과적임 X11의 장점 1. 발열이 적고 냉각을 유지하는 고가의 GPU를 사용해 과열을 방지함 2. X11을 사용하면 GPU는 암호화폐를 처리하고 채굴하는데 많은 전력이 필요하지 않음 3. 블레이크 알고리즘부터 CPU 기능의 지침에 따라 코인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SMID 알고리즘까지 서로 다른 11개의 해시함수를 사용해서 높은 수준의 보안을 제공함 4. 올바른 소프트웨어와 설정을 갖추면 해시성능을 40%까지 높일 수 있음 ..

Blockchain/BlockChain Theory 2023. 2. 2. 21:21

거버넌스 블록체인 - Klaytn

거버넌스 블록체인 클레이튼의 구성 클레이튼은 탈중앙화는 dapp의 속도를 위해 포기한 뒤 속도와 성능을 위해 만들어진 거버넌스 블록체인입니다. 구성은 CN(Consensus Node), PN(Proxy Node), EN(EndPoint Node), BN(Boot Node)로 구성되어있으며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 CN : 합의와 블록생성을 담당하며 핵심네트워크를 구성함 PN : CN의 정보를 받아서 EN으로 전파하고 / EN의 요청을 받아서 CN으로 전달하는 프록시 노드 EN : 외부엔드포인트에서 받은 요청을 PN으로 전파하고 / PN에서 받은 내용을 다시 엔드포인트로 반환해주는 노드 BN : 노드들끼리 연결시켜주는 부트노드 클레이튼의 네트워크 연결중개자 역할을 한다. 이외에 위와 같은 형태로 SCN, ..

Blockchain/BlockChain Theory 2023. 2. 2. 20:56

작업증명(PoW)

작업증명(PoW)의 정의 작업 증명(PoW)은 Proof of Work의 약자이며 목표값 이하의 해시를 찾는 과정을 무수히 반복하면서 해당 작업에 참여했음을 증명하는 방식의 합의 알고리즘이다. PoW의 대표코인으로는 비트코인과 비트코인 캐시가 있다. Proof : 증거(물), 증명(서), 입증, 증명 Work : 일하다, 작업하다, 일, 직장, 직업, 업무, 직무 논스(임시값)를 찾는 방법 우선 논스(nonce)가 무엇인지 알아볼까요? 해시넷위키에 적힌 설명에 따르면 논스(nonce)는 블록체인에서 목표값 이하의 블록 해시를 찾기 위해 임시로 사용하는 숫자이다. 넌스, 난스 또는 임시값이라고도 한다. 국내에는 "논스"라는 이름의 크립토 커뮤니티 겸 스타트업도 있다. 그렇다면 비트코인에서 논스를 찾는 방법..

Blockchain/BlockChain Theory 2023. 2. 2. 15:30

채굴 시스템

CPU(Central Processing Unit) 채굴 CPU는 중앙처리장치라는 뜻으로 컴퓨터에서 대뇌역할을 하며 기억, 해석, 연산, 제어라는 4대 주요기능을 관할하는 장치다. 자세한 내용은 위키를 참조하면 된다. CPU - 나무위키 1970년대 초 단일 칩이라는 형태로 CPU가 발명된 이후 CPU의 기술은 아래와 같은 궤적을 따라 여러 방면으로 방산-발전하여 오늘날 다종다양한 산업체를 구성하게 되었으며 PC용 프로세서의 경우 20 namu.wiki 비트코인 초기에 오리지널 비트코인 클라이언트에서 사용할 수 있었던 첫번째 타입의 방식이다. 비트코인이 탄생하고 1년 정도 CPU 채굴이 사용되다가 채굴자가 많아져서 더 이상 이익이 되지 않아서 다른 채굴방법으로 대체되었다. GPU (Graphics Pro..

Blockchain/BlockChain Theory 2023. 2. 1. 08:36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다음
TISTORY
Next-BlockChain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