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xt-BlockChai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Next-BlockChain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분류 전체보기 (387) N
    • Computer Science (5)
      • OS (3)
      • Network (1)
    • Blockchain (126) N
      • Bitcoin (3)
      • Ethereum (17)
      • Cosmos (4)
      • DeFi (13)
      • DID (3)
      • NFT (7)
      • Oracle (8)
      • BlockChain Theory (25)
      • BlockChain-Core (1)
    • Dev (27)
      • React (6)
      • NodeJS (4)
      • Golang-Backend (2)
      • DevOps (2)
      • NoSQL (4)
      • Security (8)
    • Programming Language (201)
      • Go (60)
      • Solidity (40)
      • HTML (2)
      • JavaScript (97)
      • CSS (2)
    • 독서 (19)
      • 독후감 (19)
    • AI (2) N

검색 레이어

Next-BlockChain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Blockchain

  • kubo를 활용한 IPFS를 설치하고 데몬 서버 띄워보기 ~

    2023.01.25 by 0xRobert

  • IPFS의 동작방식

    2023.01.25 by 0xRobert

  • DHT(Distributed Hash Table) 분산 해시 테이블

    2023.01.23 by 0xRobert

  • 해시 테이블

    2023.01.23 by 0xRobert

  • 암호화폐에서의 DAG(Directed Acyclic Graph)

    2023.01.22 by 0xRobert

  •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

    2023.01.20 by 0xRobert

  • 토큰 이코노미

    2023.01.20 by 0xRobert

  • 암호화폐와 블록체인 트릴레마

    2023.01.19 by 0xRobert

kubo를 활용한 IPFS를 설치하고 데몬 서버 띄워보기 ~

Kubo는 IPFS 프로토콜을 Go로 구현한 기술이다. Kubo는 IPFS의 첫 번째 구현이었으며 오늘날 가장 널리 사용되는 구현이다. Kubo를 사용하면 실행할 명령을 지정할 수 있고 IPFS 데스크톱에서 할 수 있는 작업보다 더 세분화해서 작업할 수 있습니다. Kubo에는 다음과 같은 기능이 있다. IPFS 데몬서버 광범위한 명령줄 도구 노드 제어를 통한 HTTP RPC API HTTP 브라우저에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HTTP 게이트웨이 Windows, MacOS, Linux, FreeBSD, OpenBSD용 바이너리 리눅스용 kubo 설치 단계 1. 리눅스용 tar파일을 설치합니다. (설치파일 제공 페이지 : 링크) wget은 알아서 설치해야합니다 ? ~ wget https://dist.ipfs...

Blockchain/BlockChain Theory 2023. 1. 25. 16:03

IPFS의 동작방식

IPFS는 P2P(Peer-to-Peer)네트워크로 전 세계에 분포되있는 피어를 통해 접근 가능 IPFS의 동작방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음 3가지 원칙을 알아야합니다. 1. 콘텐츠 어드레싱(Content-addressing)을 통한 고유식별 2. 방향성 비순환 그래프(Directed Acyclic Graph)을 통한 콘텐츠 연결 3. 분산 해시 테이블(Distributed Hash Table)을 통한 콘텐츠 검색 콘텐츠 어드레싱 1. IPFS는 파일 내용을 해시화하여 콘텐츠 식별자(CID)를 생성함 2. 다른 분산 시스템도 해시를 통해 콘텐츠 식별과 콘텐츠를 서로 연결하는 수단으로 사용함 예시)) Git 커밋, 블록체인 3. 이런 시스템의 데이터구조는 상호운용과 연동이 되지않는다. 그래서 이런 문제를 ..

Blockchain/BlockChain Theory 2023. 1. 25. 14:55

DHT(Distributed Hash Table) 분산 해시 테이블

사진 출처 : 위키 링크 Distributed hash table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Decentralized distributed system with lookup service A distributed hash table (DHT) is a distributed system that provides a lookup service similar to a hash table: key–value pairs ar en.wikipedia.org DHT(분산 해시테이블) : 해시테이블과 유사한 조회서비스를 제공하는 분산 시스템이다. 키-값 쌍은 DHT(분산된 해시테이블)에 저장되며 ..

Blockchain/BlockChain Theory 2023. 1. 23. 23:38

해시 테이블

사진출처 : 링크(위키) Hash table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Associative array for storing key-value pairs Hash tableTypeUnordered associative arrayInvented1953Algorithm Average Worst caseSpace Θ(n)[1] O(n)Search Θ(1) O(n)Insert Θ(1) O(n)Delete Θ(1) O(n) A small phone book a en.wikipedia.org 해시 테이블(Hash Table) 해시테이블이란 키를 입력 값으로 해시 함수(hash function)을 사용하여 변환한 해시(hash)값을 색인(index)으로 ..

Blockchain/BlockChain Theory 2023. 1. 23. 23:11

암호화폐에서의 DAG(Directed Acyclic Graph)

사진출처: 링크 암호화폐에서의 DAG 암호화폐에서 보통은 데이터구조로 블록체인을 사용하지만 블록체인 대신 DAG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블록체인의 특징: 각 정점이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블록에는 트랜잭션이 담겨있음 DAG의 동작 방식 1. DAG는 "블록" 개념이 존재하지 않으며, 그래프의 각 정점은 블록이 아닌 개별 트랜잭션이다. 2. 블록개념이 없기 때문에 채굴도 필요하지 않는다. 단 트랜잭션들은 서로를 참조하면서 해당 트랜잭션의 유효성을 검증함 DAG에서는 어떻게 네트워크 트랜잭션의 유효성을 검사할까? 1. 노드가 트랜잭션을 네트워크에 제출함 2. 새로운 트랜잭션은 네트워크 내에 있는 이전 트랜잭션을 참조해야 네트워크에 승인이됨 그래서 이전 트랜잭션을 찾음 (꼭 직전에 올라온 트랜잭션이 아닌..

Blockchain/BlockChain Theory 2023. 1. 22. 22:48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

IPFS는 분산 웹을 강화하고 더 빠르고, 더 안전하게, 더 개발적으로 만드는 하이퍼미디어 프로토콜입니다. IPFS의 특징 IPFS 프로젝트는 Git, BitTorrent, Kademila, Bitcoin과 같은 성공적인 시스템에서 배운것을 활용해서 인터넷과 웹을 발전시키려고 함 IPFS는 콘텐츠 및 ID로 처리되는 하이퍼미디어 배포 프로토콜이다. IPFS는 모든 컴퓨터 장치를 동일한 파일시스템과 연결하려는 분산 파일 시스템 실제로 BitTorrent와 가장 유사함 IPFS는 인터넷의 새로운 주요 하위시스템이 되고 있고 올바르게 구축하면 HTTP를 보완하거나 대체할 수 있음 IPFS는 프로토콜이다. 콘텐츠 주소 지정 파일 시스템을 정의함 콘텐츠 전달을 조정함 Kademila + BitTorrent(분산 ..

Blockchain/BlockChain Theory 2023. 1. 20. 17:59

토큰 이코노미

토큰 이코노미는 무엇인가? 토큰 이코노미는 특정 행동의 시스템적인 강화를 기반으로 둔 우발성 관리 시스템이고 강화제는 다른 강화제와 교환할 수 있는 상징 또는 "토큰"입니다. 음.. 쉽게 말하면 옛날에 교실에서 좋은 일을 하면 종이로 된 쿠폰같은 것을 줬었는데요 그런 것과 비슷합니다. 특정 목표를 끌어내기위해 "토큰"을 보수로 주고 그 토큰을 유무형의 가치와 교환함으로써 목표행동을 강화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블록체인 용어도 아니고 행동심리학에서 나온 용어입니다. 온라인에서는 옛날에 싸이월드의 도토리라던지 현재시점에서는 NFT가 인터넷 토큰의 비슷한 예시같네요. 토큰 이코노미의 3요소 토큰(Tokens) 물질적 강화제, 서비스, 또는 권한등과 교환할 수 있는 물건 또는 상징. 강화제(Back-up Rein..

Blockchain/BlockChain Theory 2023. 1. 20. 17:20

암호화폐와 블록체인 트릴레마

블록체인의 트릴레마를 해결하기 위한 암호화폐를 알아보기 전에 암호화폐는 무엇일까요? 암호화폐(Cryptocurrency)는 "암호화"라는 뜻을 가진 Crypto와 통화, 화폐란 듯을 가진 currency의 합성어로 분산 장부(Distributed Ledger)에서 비대칭키 암호화를 통해 안전하게 자산을 전송하고 해시함수를 통해 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는 디지털 자산입니다. 암호화폐는 태생부터 중앙에서 발급하는 기존 통화와 다른 탈중앙화된 화폐로서 제3의 신뢰기관보다는 분산장부라는 기술을 신뢰함으로써 태어난 화폐입니다. 그리고 중앙화폐와 달리 검열 저항성을 가지고 있어서 중앙관리자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블록체인 트릴레마와 관련된 암호화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1. 확장성을 타협한 암호화폐 1...

Blockchain/BlockChain Theory 2023. 1. 19. 19:07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12 13 14 15 16
다음
TISTORY
Next-BlockChain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