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xt-BlockChai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Next-BlockChain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분류 전체보기 (358)
    • Computer Science (19)
      • OS (3)
      • Network (1)
      • NoSQL (4)
      • DevOps (2)
      • Security (8)
    • Blockchain (94)
      • BlockChain Theory (25)
      • Bitcoin (3)
      • Ethereum (17)
      • Cosmos (4)
      • DeFi (13)
      • DID (3)
      • NFT (7)
      • Oracle - Chainlink (8)
      • Geth_2019_(NAKsir-melody)님자.. (1)
    • Web (13)
      • React (6)
      • NodeJS (4)
      • Echo (2)
    • Programming Language (201)
      • Go (60)
      • Solidity (40)
      • HTML (2)
      • JavaScript (97)
      • CSS (2)
    • 독서 (19)
      • 독후감 (19)
    • 교양 (6)
      • 국어 (4)
      • 영어 (1)
      • 인물 (1)
    • 경제 (0)

검색 레이어

Next-BlockChain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Go 언어를 기반으로한 블록체인 개발공부(Proof of Stake) - Part 4

    2023.02.11 by Yongari

  • Golang Algorithm - binary search 이진 탐색

    2023.02.10 by Yongari

  • Golang Algorithm - Linear Search - 선형 검색

    2023.02.10 by Yongari

  • Go 언어를 기반으로한 블록체인 개발공부(Power of Work) - Part 3

    2023.02.10 by Yongari

  • 허클베리 핀의 모험 독후감 - 마크 트웨인

    2023.02.10 by Yongari

  • JavaScript Algorithm - robotPath2

    2023.02.10 by Yongari

  • Go 언어를 기반으로한 블록체인 개발공부(Network) - Part 2

    2023.02.09 by Yongari

  • JavaScript Algorithm - gossipProtocol

    2023.02.09 by Yongari

Go 언어를 기반으로한 블록체인 개발공부(Proof of Stake) - Part 4

요구되는 사전 지식과 보면 좋을 포스팅 지분증명에 대한 개념입니다. https://next-block.tistory.com/entry/%EC%A7%80%EB%B6%84%EC%A6%9D%EB%AA%85-PoS 지분증명 (PoS) PoS(지분 증명 합의 알고리즘) PoS(지분 증명)은 Proof of Stake의 약자로 암호화폐를 보유하고 있는 지분율에 비례하여 채굴을 할 수 있게 해주는 합의 알고리즘입니다. 지분 증명(PoS)는 네트워크 참 next-block.tistory.com https://next-block.tistory.com/entry/Go%EC%96%B8%EC%96%B4%EB%A5%BC-%EA%B8%B0%EB%B0%98%EC%9C%BC%EB%A1%9C%ED%95%9C-%EB%B8%94%EB%A..

Programming Language/Go 2023. 2. 11. 20:22

Golang Algorithm - binary search 이진 탐색

이진 탐색은 검색할 데이터의 양을 지속적으로 줄임으로써 검색어가 발견되는 속도를 높임으로써 목록 내의 요소를 찾는 데 사용되는 탐색 전략입니다. 이진 탐색 알고리즘을 사용하려면 작동할 목록이 이미 정렬되어 있어야 합니다. package main import "fmt" func binarySearch(needle int, haystack []int) bool { low := 0 high := len(haystack) - 1 for low

Programming Language/Go 2023. 2. 10. 22:53

Golang Algorithm - Linear Search - 선형 검색

이 코드는 인덱스를 사용하여 목록의 시작에서 끝으로 이동함으로써 요소 목록을 전달합니다. 각 요소가 검사되고 검색 항목과 일치하지 않으면 다음 항목이 검사됩니다. 한 항목에서 다음 항목으로 이동하면 목록이 순차적으로 전달됩니다. package main import "fmt" func linearsearch(datalist []int, key int) bool { for _, item := range datalist{ if item == key{ return true } } return false } func main(){ items := []int{95,78,36,58,45,86,99,251,320} fmt.Println(linearsearch(items,58)) }

Programming Language/Go 2023. 2. 10. 22:51

Go 언어를 기반으로한 블록체인 개발공부(Power of Work) - Part 3

요구되는 사전 지식과 보면 좋을 포스팅 https://next-block.tistory.com/entry/%EC%9E%91%EC%97%85%EC%A6%9D%EB%AA%85PoW 작업증명(PoW) 작업증명(PoW)의 정의 작업 증명(PoW)은 Proof of Work의 약자이며 목표값 이하의 해시를 찾는 과정을 무수히 반복하면서 해당 작업에 참여했음을 증명하는 방식의 합의 알고리즘이다. PoW의 대표코인 next-block.tistory.com https://next-block.tistory.com/entry/Go%EC%96%B8%EC%96%B4%EB%A5%BC-%EA%B8%B0%EB%B0%98%EC%9C%BC%EB%A1%9C%ED%95%9C-%EB%B8%94%EB%A1%9D%EC%B2%B4%EC%9D%B..

Programming Language/Go 2023. 2. 10. 20:27

허클베리 핀의 모험 독후감 - 마크 트웨인

허클베리 핀의 모험 책을 읽기 전에 들었던 생각 톰 소여의 모험에서 워낙 톰 보다 답이 없는 캐릭터였던 허클베리 핀에 대한 선입견으로 이 책을 읽기 전에 "톰 소여의 모험" 보다 더 허클베리 핀이 사고를 칠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내 편견과는 전혀 달랐다. 오히려 허클베리 핀이 톰 소여보다 더 성숙해진 것 같다고 생각했고 그의 안타까운 환경을 보면서 왜 톰 소여의 모험에서 그렇게 노숙자처럼 살았는지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 책에서 허클베리 핀의 도덕적인 양심과 사회 통념에 맞서는 순수한 마음을 볼 수 있어서 개인적인 생각으로 성숙한 성장 소설을 읽은 느낌을 많이 받았다. 이 책을 다 읽고 난 후 기억나는 사건을 중심으로 독후감을 간략하게 작성해 봤다. 여기서 헉은 허클베리 핀의 줄임말이다. 책에서 친근하게..

독서/독후감 2023. 2. 10. 20:01

JavaScript Algorithm - robotPath2

문제 설명 : 세로와 가로의 길이가 각각 M, N인 방의 지도가 2차원 배열로 주어졌을 때, 1은 장애물을 의미하고 0 이동이 가능한 통로를 의미합니다. 로봇은 한 번에 임의의 k칸 직진과 90도 회전 중 1가지 동작을 할 수 있다. 로봇의 현재 위치와 방향, 목표 지점과 방향이 함께 주어집니다. 이 때, 방향은 위쪽이 1, 오른쪽이 2, 아래쪽이 3, 왼쪽이 4로 주어집니다. 로봇이 목표 지점까지 도달해 목표 방향으로 회전하는 데 필요한 동작의 수를 리턴해야 합니다. 최하단에 입출력 예시를 보고 데이터 흐름을 보면 좀 더 이해하기 쉽습니다. 출발지와 목표지 그리고 각 방향에 대해서 익힌 다음 그림을 그려보시고 접근하시면 더 쉬울 것 같습니다. 입력 인자 1 : room (입력 배열) 배열을 요소로 갖는..

Programming Language/JavaScript 2023. 2. 10. 13:17

Go 언어를 기반으로한 블록체인 개발공부(Network) - Part 2

요구되는 사전 지식 TCP : 위키 링크 HTTP : 위키 링크 Part1편에서는 기본적인 블록체인 개발을 Go로 구현했는데요 이번에는 로컬호스트를 이용해서 터미널을 다른 노드라고 생각하고 로컬 네트워크에서 블록체인을 구현하는 방법을 공부해봤습니다. 로컬네트워크 말고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블록체인을 구현하면 좋겠지만 현재 그정도 지식은 없어서 하지 못했습니다. 네트워크 실습 로직은 다음과 같습니다. 터미널 2에서 터미널 1로 TCP 통신을 통해 연결한다. (리눅스 커맨드 nc를 이용합니다.) 터미널2에서 BPM 입력을 통해 터미널1(go 블록체인 서버)에 연결해서 블록을 생성한다. 터미널1에서 생성된 블록정보를 검사하고 다시 터미널2로 전달한다. 모든 터미널에서 생성된 블록이 동기화 된다. 환경 설정..

Programming Language/Go 2023. 2. 9. 17:00

JavaScript Algorithm - gossipProtocol

문제설명 세로와 가로의 길이가 각각 M, N인 마을지도가 배열로 주어졌을 때, '1'은 주민이 있는 집을 의미하고 '0'은 주민이 없는 땅을 의미합니다. 이 마을은 소문이 시작되면 하루에 상하좌우 한 칸 바로 옆에 있는 집으로 퍼집니다. 특정 주민의 집 (R, C)으로부터 어떤 소문이 시작될 경우, 마을 전체로 소문이 퍼지는데 걸리는 시간(일)을 리턴해야 합니다. 1이 있는 곳을 x로 만든다고 생각하고 코드를 작성해보세요. 우선 입출력을 보고 단계별로 데이터 흐름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입력 인자 1 : village string 타입을 요소로 갖는 배열 village.length는 M village[i]는 string 타입 village[i].length는 N village[i][j]는 세로로 i..

Programming Language/JavaScript 2023. 2. 9. 16:05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45
다음
TISTORY
Next-BlockChain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