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xt-BlockChai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Next-BlockChain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분류 전체보기 (358)
    • Computer Science (19)
      • OS (3)
      • Network (1)
      • NoSQL (4)
      • DevOps (2)
      • Security (8)
    • Blockchain (94)
      • BlockChain Theory (25)
      • Bitcoin (3)
      • Ethereum (17)
      • Cosmos (4)
      • DeFi (13)
      • DID (3)
      • NFT (7)
      • Oracle - Chainlink (8)
      • Geth_2019_(NAKsir-melody)님자.. (1)
    • Web (13)
      • React (6)
      • NodeJS (4)
      • Echo (2)
    • Programming Language (201)
      • Go (60)
      • Solidity (40)
      • HTML (2)
      • JavaScript (97)
      • CSS (2)
    • 독서 (19)
      • 독후감 (19)
    • 교양 (6)
      • 국어 (4)
      • 영어 (1)
      • 인물 (1)
    • 경제 (0)

검색 레이어

Next-BlockChain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Golang Algorithm - ShellSort (셸 정렬)

    2023.02.19 by Yongari

  • Go 언어를 기반으로한 블록체인 개발공부(Peer to Peer) - Part 5

    2023.02.19 by Yongari

  • Golang Algorithm - CombSort (빗질 정렬)

    2023.02.18 by Yongari

  • Golang Algorithm - binaryTree (이진트리)

    2023.02.17 by Yongari

  • 블록체인 보안 - 51% 공격

    2023.02.17 by Yongari

  • JavaScript Algorithm - LIS(Longest Increasing Subsequence)

    2023.02.17 by Yongari

  • 미국 건국의 아버지 벤저민 프랭클린 자서전 독후감

    2023.02.16 by Yongari

  • ERC-721(NFT) 토큰 발급 및 전송 실습

    2023.02.16 by Yongari

Golang Algorithm - ShellSort (셸 정렬)

셸정렬이란? 가장 오래된 정렬 알고리즘 중 하나 알고리즘을 만든 사람 도널드 셸의이름을 따서 만든 정렬 보완한 삽입정렬의 일반화로 볼 수 있음 https://ko.wikipedia.org/wiki/%EC%85%B8_%EC%A0%95%EB%A0%AC 셸 정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셸 정렬 알고리즘 컬러 바 셸 정렬(영어: shell sort)은 가장 오래된 정렬 알고리즘의 하나이다. 이름은 1959년 이 방법을 발표한 창안자 도널드 셸의 이름을 따서 ko.wikipedia.org ShellSort는 주로 삽입 정렬의 변형입니다. shellSort의 아이디어는 멀리 있는 물건들의 교환을 허용하는 것이다. shellSort에서 우리는 N의 큰 값에 대해 배열을 ..

Programming Language/Go 2023. 2. 19. 23:25

Go 언어를 기반으로한 블록체인 개발공부(Peer to Peer) - Part 5

요구되는 사전 지식과 보면 좋을 포스팅 https://next-block.tistory.com/entry/Go%EC%96%B8%EC%96%B4%EB%A5%BC-%EA%B8%B0%EB%B0%98%EC%9C%BC%EB%A1%9C%ED%95%9C-%EB%B8%94%EB%A1%9D%EC%B2%B4%EC%9D%B8-%EA%B0%9C%EB%B0%9C%EA%B3%B5%EB%B6%80Network-Part2 Go 언어를 기반으로한 블록체인 개발공부(Network) - Part 2 요구되는 사전 지식 TCP : 위키 링크 HTTP : 위키 링크 Part1편에서는 기본적인 블록체인 개발을 Go로 구현했는데요 이번에는 로컬호스트를 이용해서 터미널을 다른 노드라고 생각하고 로컬 네트워 next-block.tistory.com..

Programming Language/Go 2023. 2. 19. 23:16

Golang Algorithm - CombSort (빗질 정렬)

빗질 정렬이란? 버블정렬을 개선한 정렬알고리즘으로 리스트 끝에 있는 작은 값들을 제거하기 위한 아이디어가 추가된 알고리즘 https://ko.wikipedia.org/wiki/%EB%B9%97%EC%A7%88_%EC%A0%95%EB%A0%AC 빗질 정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o.wikipedia.org go로 구현하는 빗질 정렬 함수의 역할 main() : 20개의 난수 배열을 생성하는 함수 generateSlice를 호출한 뒤 quicksort 함수를 호출하는 메인 함수 generateSlice() : slice를 초기화한뒤 slice 배열에 1부터 999까지의 난수 - 1부터 999까지의 난수를 계산한 원소를 삽인한 배열(slice)을 리턴한다. co..

Programming Language/Go 2023. 2. 18. 23:23

Golang Algorithm - binaryTree (이진트리)

이진트리란? 이진 트리는 각각의 노드가 최대 두 개의 자식 노드를 가지는 자료구조를 뜻한다. 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C%A7%84_%ED%8A%B8%EB%A6%AC 이진 트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크기가 9이고, 높이가 3인 이진 트리 컴퓨터 과학에서 이진 트리(二進-, 영어: binary tree)는 각각의 노드가 최대 두 개의 자식 노드를 가지는 트리 자료 구조로, 자 ko.wikipedia.org 구조체와 함수의 역할 BinaryTree 구조체 : 이진트리를 나타내고 해당 트리의 루트노드(최상위 노드, root node)를 필드로 가진다. BinaryNode 구조체 : 이진트리의 노드를 나타내고 lef..

Programming Language/Go 2023. 2. 17. 20:12

블록체인 보안 - 51% 공격

51% 공격이란? 51% 공격은 단일 주체나 조직이 대다수 해시파워를 차지해서 네트워크를 중단시킬 수 있는 공격이다. 악의적인 주체가 충분한 채굴파워를 가지고 있으면 다른 사람이 발생시킨 트랜잭션을 되돌릴 수 있는데 이것은 이중지불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이중지불이란 이미 지불된 금액에 대해 다시한번 금액 또 지불되는 문제인데 이럴 경우 100만원을 출금신청했으나 내 의지와 상관없이 계좌에서 또 100만원이 추가로 출금되는 것과 비슷한 현상이다. 51% 공격의 동작방식 1. 공격자는 네트워크 전체 해시파워의 50% 이상을 확보한다. 그리고 블록을 채굴한다. 2. 블록채굴시 피어들에게 전파하지않고 혼자 가지고 있는다. 3. 공격자의 해시파워가 나머지 네트워크 전체 해시파워보다 높기 때문에 블록생성이 더 ..

Blockchain/BlockChain Theory 2023. 2. 17. 18:15

JavaScript Algorithm - LIS(Longest Increasing Subsequence)

알고리즘 참고 동적프로그래밍 : (다른 말로 기억하며 풀기, 한번 계산한 것은 중복해서 계산 안하기로 이해하면 된다. ) https://namu.wiki/w/%EB%8F%99%EC%A0%81%20%EA%B3%84%ED%9A%8D%EB%B2%95 동적 계획법 - 나무위키 동적 계획법의 개념과 구현에 대해 정확하게 짚고 넘어가기 위해 동적 계획법을 적용시킬 수 있는 예에 대해 알아보자. f(a,b) = f(a-1,b) + f(a,b-1) (a,b >= 1 )f(0,0) = 1, 임의의 자연수 n에 대해 f(n,0) = f(0, namu.wiki 이진탐색 알고리즘: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리스트에서 특정한 값의 위치를 찾는 알고리즘이다. 처음 중간값을 임의로 찾은뒤 임의값으로 만들고 찾고자하는 값을 비교해서 큰지..

Programming Language/JavaScript 2023. 2. 17. 13:23

미국 건국의 아버지 벤저민 프랭클린 자서전 독후감

출처: 링크 프랭클린 자서전 프랭클린은 200년도 지난 미국 개척기 시대의 인물이다. 그런데도 그의 자서전이 지금까지 미국의 젊은이들에게 널리 읽히는 까닭은, 철저한 자기관리형 인물이었던 그의 규칙이 오늘날까지도 www.aladin.co.kr 프랭클린 자서전 독후감 구성 1. 프랭클린 자서전을 읽은 후 느낌 (인상 깊었던 부분 발췌 및 전체 리뷰) 2. 독서일기 (매일 독서하면서 읽었던 느낌) 1. 프랭클린 자서전을 읽은 후 느낌 프랭클린 자서전은 크게 3부로 나누어진다. 1부는 프랭클린이 자서전을 쓰게 된 이유와 프랭클린 삶의 초반부에 대한 내용이 있다. 1부 도입부부터 나는 아주 신선한 충격을 받았는데 그 이유는 바로 벤저민 프랭클린이라는 사람의 솔직함과 그리고 자신이 성공했었던 이유와 습관들을 후손..

독서/독후감 2023. 2. 16. 16:09

ERC-721(NFT) 토큰 발급 및 전송 실습

1. 리믹스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https://remix.ethereum.org/ Remix - Ethereum IDE remix.ethereum.org 2. 파일을 만든 뒤 다음 솔리디티 코드를 넣어줍니다. 2-1 "test.sol" 과 같이 파일을 만듭니다. (저는 YongNft.sol이라고 만들었습니다.) 2-2 ERC-721(NFT) solidity 코드 다음 ERC721(NFT)코드는 오픈제플린 라이브러리를 참고해서 짧게 보이는 것이다. 사실은 굉장히 많은 코드를 함축적으로 가지고 있다. 실제 라이브러리 코드들이다. 2-2-1. ERC721.sol (NFT에 대한 주요 함수가 있는 솔리디티 코드, 승인, 토큰 전송등의 함수가 있다. ) import "@openzeppelin/contracts/..

Programming Language/Solidity 2023. 2. 16. 15:47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 45
다음
TISTORY
Next-BlockChain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