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xt-BlockChai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Next-BlockChain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분류 전체보기 (358)
    • Computer Science (19)
      • OS (3)
      • Network (1)
      • NoSQL (4)
      • DevOps (2)
      • Security (8)
    • Blockchain (94)
      • BlockChain Theory (25)
      • Bitcoin (3)
      • Ethereum (17)
      • Cosmos (4)
      • DeFi (13)
      • DID (3)
      • NFT (7)
      • Oracle - Chainlink (8)
      • Geth_2019_(NAKsir-melody)님자.. (1)
    • Web (13)
      • React (6)
      • NodeJS (4)
      • Echo (2)
    • Programming Language (201)
      • Go (60)
      • Solidity (40)
      • HTML (2)
      • JavaScript (97)
      • CSS (2)
    • 독서 (19)
      • 독후감 (19)
    • 교양 (6)
      • 국어 (4)
      • 영어 (1)
      • 인물 (1)
    • 경제 (0)

검색 레이어

Next-BlockChain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Geth 계정 생성과 채굴 (PoW버전의 geth)

    2023.02.04 by Yongari

  • 블록체인 노드의 종류

    2023.02.03 by Yongari

  • 하드포크(Hard Fork)와 소프트포크(Soft Fork)

    2023.02.03 by Yongari

  • JavaScript Algoritim - spiralTraversal

    2023.02.03 by Yongari

  • 채굴 알고리즘

    2023.02.02 by Yongari

  • 거버넌스 블록체인 - Klaytn

    2023.02.02 by Yongari

  • 위임지분증명(DPoS)

    2023.02.02 by Yongari

  • 지분증명 (PoS)

    2023.02.02 by Yongari

Geth 계정 생성과 채굴 (PoW버전의 geth)

1. 로컬 테스트넷에서 Geth 실행하기 로컬 테스트넷에서 Geth를 실행하기 위해서 데이터 디렉토리와 genesis.json파일이 필요합니다. 데이터 디렉토리 : 송수신한 블록 데이터와 계정 정보를 저장함 genesis.json : 블록체인의 Genesis 블록(블록체인의 첫번째 블록)의 정보가 담긴 json 형태의 파일 1-1 먼저 docker에 다시 접속하겠습니다. #docker가 다운되어 있을 경우 docker ps -a #docker 컨테이너 실행여부 확인 docker start con_ubnutu #도커 con_ubuntu를 실행하기 docker exec -it conubunt bash #도커 con_ubuntu로 접속하기 1-2 test_data와 genesis.json 만들기 mkdir -..

Blockchain/Ethereum 2023. 2. 4. 17:26

블록체인 노드의 종류

블록체인의 노드도 기능에 따라 여러가지가 존재합니다. 또는 특정 합의알고리즘에 따라 존재하거나 특정 블록체인 시스템에서만 존재하는 노드도 있습니다. 다음은 그 노드의 종류들입니다. 지갑(Wallet) 노드 지갑은 사용자의 개인 키와 공개키를 관리하고 거래에 사용하는 주소를 생성하는 기능을 담당합니다. 풀 노드 (Full Node) 풀 노드는 블록체인에서 이뤄진 모든 거래정보를 전부 저장하는 노드입니다. 제네시스 블록부터 시작해서 현재 블록까지 모든 블록체인 정보를 수집, 저장합니다. 블록체인은 주요 데이터를 여러 풀 노드가 함께 보관해서 해킹이 불가능합니다. 장점 : 모든 블록체인의 내용이 다 있어서 스스로 거래검증 가능 단점 : 용량이 너무 커서 다운로드받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하드디스크의 용량을 많..

Blockchain/BlockChain Theory 2023. 2. 3. 21:56

하드포크(Hard Fork)와 소프트포크(Soft Fork)

하드포크(Hard Fork) 하드포크(Hard Fork)는 블록체인의 기본 기능 자체를 수정하는 포크를 말하며 블록체인의 문제 해결 및 업그레이드 방식의 하나로서 업그레이드 이후에는 기존 문제를 해결하고 이전 블록체인과 전혀 다른 프로토콜을 가지는 블록체인이 된다. 하드포크 이후에 채굴노드들은 새 버전으로 강제 업그레이드를 해야해서 하드(Hard)포크라 한다. 하드포크의 반대말은 소프트포크(Soft Fork)다. 이더리움 클래식 대표적인 하드포크 사례로는 이더리움에서는 이더리움과 이더리움 클래식이 하드포크를 했던 DAO 사건이 있다. 간략히 말하면 이더리움 창업자들이 2016년 4월 28일 탈중앙화 자치조칙 "DAO"(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을 크라우드펀딩으로..

Blockchain/BlockChain Theory 2023. 2. 3. 21:41

JavaScript Algoritim - spiralTraversal

문제 설명: 2차원 M x N 배열을 나선형(spiral)으로 순회해야 합니다. 입력 받은 배열의 원소를 보시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으며 회전할때마다 문자열을 더해주면서 값을 만듭니다. 이런 문제가 나오면 방향에 따른 변화와 Lookup 테이블을 만드는 것이 문제풀이에 도움이 됩니다. 입력 인자 1 : matrix 세로 길이(matrix.length)가 M, 가로 길이(matrix[i].length)가 N인 2차원 배열 matrix[i]는 string 타입을 요소로 갖는 배열 matrix[i][j].length는 1 출력 string 타입을 리턴해야 합니다. 주의사항 순회는 좌측 상단 (0,0)에서 시작합니다. 배열의 모든 요소를 순서대로 이어붙인 문자열을 리턴해야 합니다 입출력 예시 let matr..

Programming Language/JavaScript 2023. 2. 3. 10:55

채굴 알고리즘

SHA256 : 블록체인에서 가장 많이 채택하여 사용되고 있는 암호방식, 단방향이고 복호화 방법이 아직 밝혀지지 않음 보통 SHA-2라고 하면 모두 SHA-256으로 말할 정도로 상용화가 잘되어 있음 X11 : X계열 해시 알고리즘 중 가장 널리 쓰이고 있고 GPU에 의한 채굴이 가장 효과적임 X11의 장점 1. 발열이 적고 냉각을 유지하는 고가의 GPU를 사용해 과열을 방지함 2. X11을 사용하면 GPU는 암호화폐를 처리하고 채굴하는데 많은 전력이 필요하지 않음 3. 블레이크 알고리즘부터 CPU 기능의 지침에 따라 코인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SMID 알고리즘까지 서로 다른 11개의 해시함수를 사용해서 높은 수준의 보안을 제공함 4. 올바른 소프트웨어와 설정을 갖추면 해시성능을 40%까지 높일 수 있음 ..

Blockchain/BlockChain Theory 2023. 2. 2. 21:21

거버넌스 블록체인 - Klaytn

거버넌스 블록체인 클레이튼의 구성 클레이튼은 탈중앙화는 dapp의 속도를 위해 포기한 뒤 속도와 성능을 위해 만들어진 거버넌스 블록체인입니다. 구성은 CN(Consensus Node), PN(Proxy Node), EN(EndPoint Node), BN(Boot Node)로 구성되어있으며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 CN : 합의와 블록생성을 담당하며 핵심네트워크를 구성함 PN : CN의 정보를 받아서 EN으로 전파하고 / EN의 요청을 받아서 CN으로 전달하는 프록시 노드 EN : 외부엔드포인트에서 받은 요청을 PN으로 전파하고 / PN에서 받은 내용을 다시 엔드포인트로 반환해주는 노드 BN : 노드들끼리 연결시켜주는 부트노드 클레이튼의 네트워크 연결중개자 역할을 한다. 이외에 위와 같은 형태로 SCN, ..

Blockchain/BlockChain Theory 2023. 2. 2. 20:56

위임지분증명(DPoS)

위임지분증명(DPoS) 위임지분증명(DPoS)란 Delegated Proof of Stake의 약자다. 암호화폐 소유자들이 각자 지분율에 비례해서 투표권을 행사한 뒤 자신의 대표자를 선정하고 선정된 대표자들이 합의해서 의사결정을 내리는 합의 알고리즘이다. 선출된 대표자들은 블록을 생성하고 블록을 확정하기 위해 2/3이상의 승인이 필요합니다. 대표자는 일정시간내에 블록 셋업에 참여해야 유지가됩니다. 위임지분증명(DPoS)의 장점 소규모 참여자도 이득을 볼 수 있다. 초당 거래속도(TPS, Transaction Per Second) 위임지분증명(DPoS)의 단점 네트워크 보안 : 지분을 위임받은 대표자들의 수가 제한되어있어서 보안에 취약하다. 그리고 대표자에 대한 정보를 밝혀야해서 익명성의 장점이 없다. 탈..

카테고리 없음 2023. 2. 2. 20:42

지분증명 (PoS)

PoS(지분 증명 합의 알고리즘) PoS(지분 증명)은 Proof of Stake의 약자로 암호화폐를 보유하고 있는 지분율에 비례하여 채굴을 할 수 있게 해주는 합의 알고리즘입니다. 지분 증명(PoS)는 네트워크 참여자 모두가 블록을 생성할 기회를 갖게되는 방식인데 가지고 있는 지분이 많을수록 블록 생성 기회를 더 얻습니다. 지분 증명(PoS)의 장점 PoW와는 달리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입니다. 스테이킹(Staking)한 자산을 통해 블록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코인을 네트워크에 스테이킹 해야하기 때문에 다른 코인으로 이탈할 가능성이 적습니다. 지분 증명(PoS)의 단점 1. 불완전한 해결책 : 지분증명(PoS)방식 시스템은 체인 선택에 대한 해결책만 제시했습니다. 다른 문제점에 대한 해답은 제시하지 못했..

Blockchain 2023. 2. 2. 20:22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 45
다음
TISTORY
Next-BlockChain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