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xt-BlockChai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Next-BlockChain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분류 전체보기 (397) N
    • Computer Science (5)
      • OS (3)
      • Network (1)
    • Blockchain (53) N
      • Bitcoin (3)
      • Ethereum (17)
      • Cosmos (4)
      • DeFi (13)
      • DID (3)
      • NFT (7)
      • Oracle (8)
      • BlockChain Theory (25)
      • BlockChain-Core (1)
    • Dev (27)
      • React (6)
      • NodeJS (4)
      • Golang-Backend (2)
      • DevOps (2)
      • NoSQL (4)
      • Security (8)
    • Programming Language (201)
      • Go (60)
      • Solidity (40)
      • HTML (2)
      • JavaScript (97)
      • CSS (2)
    • 독서 (19)
      • 독후감 (19)
    • AI (4)

검색 레이어

Next-BlockChain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분류 전체보기

  • Golang Algorithm - H-Index(프로그래머스)

    2023.07.10 by 0xRobert

  • Golang Algorithm - 순서쌍의 개수 (프로그래머스)

    2023.07.09 by 0xRobert

  • Golang Algorithm - 문자열 밀기 (프로그래머스)

    2023.06.23 by 0xRobert

  • "밑바닥부터 만드는 인터프리터 in Go" 공부 정리 (1) - Lexing, Token, REPL

    2023.06.07 by 0xRobert

  • Golang Algorithm - 코드 처리하기

    2023.06.01 by 0xRobert

  • Golang Algorithm - 문자열 나누기

    2023.05.14 by 0xRobert

  • WEB2 VS WEB3

    2023.05.12 by 0xRobert

  • Golang Algorithm - 정수를 나선형으로 배치하기

    2023.05.12 by 0xRobert

Golang Algorithm - H-Index(프로그래머스)

H-Index 문제 설명 H-Index는 과학자의 생산성과 영향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어느 과학자의 H-Index를 나타내는 값인 h를 구하려고 합니다. 위키백과1에 따르면, H-Index는 다음과 같이 구합니다. 어떤 과학자가 발표한 논문 n편 중, h번 이상 인용된 논문이 h편 이상이고 나머지 논문이 h번 이하 인용되었다면 h의 최댓값이 이 과학자의 H-Index입니다. 어떤 과학자가 발표한 논문의 인용 횟수를 담은 배열 citation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이 과학자의 H-Index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과학자가 발표한 논문의 수는 1편 이상 1,000편 이하입니다. 논문별 인용 횟수는 0회 이상 10,000회 이하입니다. 입출력 예 citat..

Programming Language/Go 2023. 7. 10. 22:27

Golang Algorithm - 순서쌍의 개수 (프로그래머스)

순서쌍의 개수 문제 설명 순서쌍이란 두 개의 숫자를 순서를 정하여 짝지어 나타낸 쌍으로 (a, b)로 표기합니다. 자연수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두 숫자의 곱이 n인 자연수 순서쌍의 개수를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1 ≤ n ≤ 1,000,000 입출력 예 n result 20 6 100 9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n이 20 이므로 곱이 20인 순서쌍은 (1, 20), (2, 10), (4, 5), (5, 4), (10, 2), (20, 1) 이므로 6을 return합니다. 입출력 예 #2 n이 100 이므로 곱이 100인 순서쌍은 (1, 100), (2, 50), (4, 25), (5, 20), (10, 10), (20, 5), (25, 4), (50..

Programming Language/Go 2023. 7. 9. 12:39

Golang Algorithm - 문자열 밀기 (프로그래머스)

문자열 밀기 문제 설명 문자열 "hello"에서 각 문자를 오른쪽으로 한 칸씩 밀고 마지막 문자는 맨 앞으로 이동시키면 "ohell"이 됩니다. 이것을 문자열을 민다고 정의한다면 문자열 A와 B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A를 밀어서 B가 될 수 있다면 밀어야 하는 최소 횟수를 return하고 밀어서 B가 될 수 없으면 -1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 제한사항 0 count + 1 // lohel > count + 1 // llohe > count + 1 // return count func solution(A string, B string) int { arrCount := len(A) - 1 count := 0 remain := A[:arrCount] final := A[..

Programming Language/Go 2023. 6. 23. 17:33

"밑바닥부터 만드는 인터프리터 in Go" 공부 정리 (1) - Lexing, Token, REPL

사전 준비물 컴퓨터에 Go 언어 1.7 버전 이상 설치되어 있으면 좋습니다. 이 게시물은 "밑바닥부터 만드는 인터프리터 in Go"를 보고 정리를 하기위해 만든 게시물입니다. "밑바닥부터 만드는 인터프리터 in Go"는 어떤 서드파티 툴이나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지 않고 바닥부터 인터프리터를 만드는 책입니다. 여러 인터프리터 중에서도 소스코드를 파싱하고 나서 추상구문트리(AST, Abstract Syntax Tree)를 만들고 이것을 평가하는 인터프리터인 "트리 탐색(tree-walking) 인터프리터"에 대한 책이다. 이 트리 탐색 인터프리터를 Go 언어로 설명하는 책이다. 그리고 렉서(lexer), 파서(parser), 트리 표현법(tree representation), 평가기(evaluator)를 만들..

Computer Science 2023. 6. 7. 12:33

Golang Algorithm - 코드 처리하기

코드 처리하기(프로그래머스) 문제 설명 문자열 code가 주어집니다. code를 앞에서부터 읽으면서 만약 문자가 "1"이면 mode를 바꿉니다. mode에 따라 code를 읽어가면서 문자열 ret을 만들어냅니다. mode는 0과 1이 있으며, idx를 0 부터 code의 길이 - 1 까지 1씩 키워나가면서 code[idx]의 값에 따라 다음과 같이 행동합니다. mode가 0일 때 code[idx]가 "1"이 아니면 idx가 짝수일 때만 ret의 맨 뒤에 code[idx]를 추가합니다. code[idx]가 "1"이면 mode를 0에서 1로 바꿉니다. mode가 1일 때 code[idx]가 "1"이 아니면 idx가 홀수일 때만 ret의 맨 뒤에 code[idx]를 추가합니다. code[idx]가 "1"이면 ..

Programming Language/Go 2023. 6. 1. 18:15

Golang Algorithm - 문자열 나누기

문자열 나누기 문제 설명 문자열 s가 입력되었을 때 다음 규칙을 따라서 이 문자열을 여러 문자열로 분해하려고 합니다. 먼저 첫 글자를 읽습니다. 이 글자를 x라고 합시다. 이제 이 문자열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어나가면서, x와 x가 아닌 다른 글자들이 나온 횟수를 각각 셉니다. 처음으로 두 횟수가 같아지는 순간 멈추고, 지금까지 읽은 문자열을 분리합니다. s에서 분리한 문자열을 빼고 남은 부분에 대해서 이 과정을 반복합니다. 남은 부분이 없다면 종료합니다. 만약 두 횟수가 다른 상태에서 더 이상 읽을 글자가 없다면, 역시 지금까지 읽은 문자열을 분리하고, 종료합니다. 문자열 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위 과정과 같이 문자열들로 분해하고, 분해한 문자열의 개수를 return 하는 함수 solution을..

Programming Language/Go 2023. 5. 14. 10:30

WEB2 VS WEB3

웹2.0은 오늘날 대부분의 사람들이 알고 있는 인터넷 버전을 말합니다. 개인 데이터를 대가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 지배하는 인터넷입니다. 이더리움의 맥락에서 웹3은 블록체인에서 실행되는 탈중앙화 앱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앱은 개인 데이터로 수익을 창출하지 않고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앱입니다. 초보자 친화적인 리소스를 찾고 계신가요? 웹3 소개를 참조하세요. WEB3 BENEFITS 많은 웹3.0 개발자들이 이더리움 고유의 탈중앙성 때문에 디앱을 개발하기로 선택했습니다: 1. 네트워크에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이 있습니다. 즉, 권한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2. 누구도 사용자를 차단하거나 서비스 액세스를 거부할 수 없습니다. 3. 결제는 기본 토큰인 이더(ETH)를 통해 이..

Blockchain/Ethereum 2023. 5. 12. 20:05

Golang Algorithm - 정수를 나선형으로 배치하기

배열 만들기 2 문제 설명 정수 l과 r이 주어졌을 때, l 이상 r이하의 정수 중에서 숫자 "0"과 "5"로만 이루어진 모든 정수를 오름차순으로 저장한 배열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만약 그러한 정수가 없다면, -1이 담긴 배열을 return 합니다. 제한사항 1 ≤ l ≤ r ≤ 1,000,000 입출력 예 l r result 5 555 [5, 50, 55, 500, 505, 550, 555] 10 20 [-1]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5 이상 555 이하의 0과 5로만 이루어진 정수는 작은 수부터 5, 50, 55, 500, 505, 550, 555가 있습니다. 따라서 [5, 50, 55, 500, 505, 550, 555]를 return 합니다. 입출력 ..

Programming Language/Go 2023. 5. 12. 19:49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6 7 8 9 10 11 12 ··· 50
다음
TISTORY
Next-BlockChain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