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xt-BlockChai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Next-BlockChain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분류 전체보기 (358)
    • Computer Science (19)
      • OS (3)
      • Network (1)
      • NoSQL (4)
      • DevOps (2)
      • Security (8)
    • Blockchain (94)
      • BlockChain Theory (25)
      • Bitcoin (3)
      • Ethereum (17)
      • Cosmos (4)
      • DeFi (13)
      • DID (3)
      • NFT (7)
      • Oracle - Chainlink (8)
      • Geth_2019_(NAKsir-melody)님자.. (1)
    • Web (13)
      • React (6)
      • NodeJS (4)
      • Echo (2)
    • Programming Language (201)
      • Go (60)
      • Solidity (40)
      • HTML (2)
      • JavaScript (97)
      • CSS (2)
    • 독서 (19)
      • 독후감 (19)
    • 교양 (6)
      • 국어 (4)
      • 영어 (1)
      • 인물 (1)
    • 경제 (0)

검색 레이어

Next-BlockChain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Blockchain/BlockChain Theory

  • 채굴 풀(Mining Pool)

    2023.02.01 by Yongari

  • 간략히 알아보는 프루닝

    2023.01.26 by Yongari

  • 블룸필터 - Bloom Filter

    2023.01.26 by Yongari

  • 비트코인의 업데이트 세그윗과 탭루트(Tap root)

    2023.01.26 by Yongari

  • kubo를 활용한 IPFS를 설치하고 데몬 서버 띄워보기 ~

    2023.01.25 by Yongari

  • IPFS의 동작방식

    2023.01.25 by Yongari

  • DHT(Distributed Hash Table) 분산 해시 테이블

    2023.01.23 by Yongari

  • 해시 테이블

    2023.01.23 by Yongari

채굴 풀(Mining Pool)

채굴 풀(Mining Pool) 채굴 풀(Mining Pool)은 채굴하는 채굴자들이 모여서 만들어진 채굴자 조합입니다. 해시넷 위키의 설명을 덧붙이자면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암호화폐를 채굴하기 위해 여러 대의 채굴기를 연결하여 마치 1대의 슈퍼컴퓨터처럼 작동하도록 만든 네트워크를 말한다고 합니다. 반대말은 솔로 마이닝이라고 합니다. 해시넷 위키 내용참조 : 링크 마이닝풀 - 해시넷 마이닝풀(mining pool)이란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암호화폐를 채굴하기 위해 여러 대의 채굴기를 연결하여 마치 1대의 슈퍼컴퓨터처럼 작동하도록 만든 네트워크를 말한다. 채굴풀 또는 채굴조합 wiki.hash.kr 주요 마이닝풀은 다음과 같습니다. 앤트풀(Antpool) 세계 최대의 마이닝 풀 : 링크 앤트풀 - 해시..

Blockchain/BlockChain Theory 2023. 2. 1. 07:25

간략히 알아보는 프루닝

프루닝(Pruning)은 경량화 기법의 하나로 인공지능 분야에서 불필요한 노드를 제거하는 기술이다. 비트코인 프루닝 비트코인이 네트워크 성장과 함께 스토리지도 함께 커지고 있었다. 그래서 이 문제를 지속해서 해결하고자 도입한 것이 Block file pruning이다. 비트코인 코어 개발팀이 이 기능을 추가했고 비트코인에서 참조할 가능성이 없는 불필요한 데이터를 삭제함으로써 비트코인 레지스터 용량을 최적화했다. 이로써 작은 버전의 Full Blockchain을 실행할 수 있었고 prune mode의 지갑을 실행하면 오래된 체인 기록을 삭제하기 때문에 디스크 공간을 최적화할 수 있었다. 이렇게 프루닝이 가능했던 이유는 블록을 실행/검증하는데 블록 내 트랜잭션 Input / Output만 사용하면 되기 때문..

Blockchain/BlockChain Theory 2023. 1. 26. 22:07

블룸필터 - Bloom Filter

블룸필터란? 블룸필터(Bloom Filter)는 특정 원소가 집합에 속하는지 검사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확률형 자료구조다. 확률적 검색 필터로 우너하는 패턴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규정할 필요 없이 원하는 패턴을 설명하는 방식 블룸필터는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면서 검색 패턴을 구현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을 제공함 SPV(Simplified Payment Verification)노드는 블록헤더만을 저장하여 거래의 유효성을 높이는 노드인데 블룸필터를 사용해서 이웃노드들에게 특정 거래를 제공해달라고 요청하는 데 이 떄 노드는 검색중인 주소에 대해 정확히 밝힐 필요가 없음 블룸필터 동작 방식 블룸필터는 m 비트 크기의 비트 배열구조를 가지고 k가지의 해시함수를 사용해서 입력된 원소에 대해 m가지의 값을 균등한 확률로..

Blockchain/BlockChain Theory 2023. 1. 26. 21:13

비트코인의 업데이트 세그윗과 탭루트(Tap root)

세그윗이란? 2017년에 진행한 업그레이드인 세그윗이란 (Segregated + Witness)은 "분리된 증인"이라는 뜻으로 비트코인 블록에서 서명을 분리해 블록당 저장 용량을 늘리는 소프트포크다. 비트코인에서 서명은 거래 이후 남는 흔적이다. 거래자가 본인이라는 사실을 증명하기 위해 개인키로 서명을 하면 거래가 블록체인에 기록되는데 세그윗은 1개 블록의 1MB로 제한되어 있는 비트코인 특성상 서명을 분리함으로써 블록당 처리량을 블록당 처리량을 개선하는데 초점을 맞춘 업그레이드다. 즉 서명데이터를 제거해서 블록 크기 제한을 늘리는 프로세스다. 세그윗 적용 기존 비트코인 대비 약 1.6배 많은 거래 처리 가능 기존 비트코인의 버그였던 거래 가변성 문제 해결 세그윗 한계 코드 복잡성 증가: 향후 사이드 이..

Blockchain/BlockChain Theory 2023. 1. 26. 16:27

kubo를 활용한 IPFS를 설치하고 데몬 서버 띄워보기 ~

Kubo는 IPFS 프로토콜을 Go로 구현한 기술이다. Kubo는 IPFS의 첫 번째 구현이었으며 오늘날 가장 널리 사용되는 구현이다. Kubo를 사용하면 실행할 명령을 지정할 수 있고 IPFS 데스크톱에서 할 수 있는 작업보다 더 세분화해서 작업할 수 있습니다. Kubo에는 다음과 같은 기능이 있다. IPFS 데몬서버 광범위한 명령줄 도구 노드 제어를 통한 HTTP RPC API HTTP 브라우저에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HTTP 게이트웨이 Windows, MacOS, Linux, FreeBSD, OpenBSD용 바이너리 리눅스용 kubo 설치 단계 1. 리눅스용 tar파일을 설치합니다. (설치파일 제공 페이지 : 링크) wget은 알아서 설치해야합니다 ? ~ wget https://dist.ipfs...

Blockchain/BlockChain Theory 2023. 1. 25. 16:03

IPFS의 동작방식

IPFS는 P2P(Peer-to-Peer)네트워크로 전 세계에 분포되있는 피어를 통해 접근 가능 IPFS의 동작방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음 3가지 원칙을 알아야합니다. 1. 콘텐츠 어드레싱(Content-addressing)을 통한 고유식별 2. 방향성 비순환 그래프(Directed Acyclic Graph)을 통한 콘텐츠 연결 3. 분산 해시 테이블(Distributed Hash Table)을 통한 콘텐츠 검색 콘텐츠 어드레싱 1. IPFS는 파일 내용을 해시화하여 콘텐츠 식별자(CID)를 생성함 2. 다른 분산 시스템도 해시를 통해 콘텐츠 식별과 콘텐츠를 서로 연결하는 수단으로 사용함 예시)) Git 커밋, 블록체인 3. 이런 시스템의 데이터구조는 상호운용과 연동이 되지않는다. 그래서 이런 문제를 ..

Blockchain/BlockChain Theory 2023. 1. 25. 14:55

DHT(Distributed Hash Table) 분산 해시 테이블

사진 출처 : 위키 링크 Distributed hash table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Decentralized distributed system with lookup service A distributed hash table (DHT) is a distributed system that provides a lookup service similar to a hash table: key–value pairs ar en.wikipedia.org DHT(분산 해시테이블) : 해시테이블과 유사한 조회서비스를 제공하는 분산 시스템이다. 키-값 쌍은 DHT(분산된 해시테이블)에 저장되며 ..

Blockchain/BlockChain Theory 2023. 1. 23. 23:38

해시 테이블

사진출처 : 링크(위키) Hash table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Associative array for storing key-value pairs Hash tableTypeUnordered associative arrayInvented1953Algorithm Average Worst caseSpace Θ(n)[1] O(n)Search Θ(1) O(n)Insert Θ(1) O(n)Delete Θ(1) O(n) A small phone book a en.wikipedia.org 해시 테이블(Hash Table) 해시테이블이란 키를 입력 값으로 해시 함수(hash function)을 사용하여 변환한 해시(hash)값을 색인(index)으로 ..

Blockchain/BlockChain Theory 2023. 1. 23. 23:11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다음
TISTORY
Next-BlockChain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