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xt-BlockChai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Next-BlockChain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분류 전체보기 (387) N
    • Computer Science (5)
      • OS (3)
      • Network (1)
    • Blockchain (126) N
      • Bitcoin (3)
      • Ethereum (17)
      • Cosmos (4)
      • DeFi (13)
      • DID (3)
      • NFT (7)
      • Oracle (8)
      • BlockChain Theory (25)
      • BlockChain-Core (1)
    • Dev (27)
      • React (6)
      • NodeJS (4)
      • Golang-Backend (2)
      • DevOps (2)
      • NoSQL (4)
      • Security (8)
    • Programming Language (201)
      • Go (60)
      • Solidity (40)
      • HTML (2)
      • JavaScript (97)
      • CSS (2)
    • 독서 (19)
      • 독후감 (19)
    • AI (2) N

검색 레이어

Next-BlockChain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Dev

  • NoSQL(Not only SQL)이란?

    2023.01.10 by 0xRobert

  • React - Effect Hook -(1) 기본

    2023.01.09 by 0xRobert

  • Side Effect (부수 효과)와 Pure Function(순수 함수)

    2023.01.09 by 0xRobert

  • Node.js 웹앱의 도커라이징

    2023.01.06 by 0xRobert

  • OAuth - github & Node.JS 구현

    2023.01.06 by 0xRobert

  • OAuth 2.0(Open Authorization 2.0,)

    2023.01.05 by 0xRobert

  • Node JS - EventEmitters

    2023.01.04 by 0xRobert

  • Node JS - Mini Node Server

    2023.01.04 by 0xRobert

NoSQL(Not only SQL)이란?

NoSQL Database가 뭐야? NoSQL은 매우 넓은 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이고, 관계형 테이블의 레거시한 방법을 사용하지 않는 데이터 저장소를 말합니다. 즉 "Not only SQL"의 약자로 SQL만을 사용하지 않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지칭하는 단어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의미가 아니고, 여러 유형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것이다. 데이터를 조작하는 방법에는 리스트, 해시, 테이블, 트리, 그래프 등의 다양한 방법이 있고 장점과 단점이 명확하기 때문에 NoSQL이라는 단어는 RDBMS의 독점적인 지위를 가지고 있는 현 상황에 반발하는 정신을 담고 있다. NoSQL이라 불리는 데이터베이스들은 대체로 다음과 같은 공통적인 성향을 보인다. 대부분 클러스터에서 실행할 목적으로..

Dev/NoSQL 2023. 1. 10. 22:50

React - Effect Hook -(1) 기본

useEffect는 리액트 컴포넌트 내에서 Side Effect를 실행할 수 있게 하는 Hook입니다. 이 컴포넌트에서 실행하는 Side Effect는 브라우저 API를 이용해서 타이틀을 변경하는 것입니다. 다음 코드가 예시입니다. 클릭할 때마다 브라우저 탭이 변경됩니다. import { useEffect, useState } from "react"; import "./styles.css"; export default function App() { //배열에 곡을 저장 const proverbs = [ "bts - 다이너마이트 ", "비오 카운팅스타", "지코 아무노래 ", "리쌍 광대 ", "다듀 출첵" ]; // idx 초기값과 setIdx 업데이트함수를 선언하고 useState의 디폴트 값은 0으로..

Dev/React 2023. 1. 9. 16:29

Side Effect (부수 효과)와 Pure Function(순수 함수)

Side Effect 부수효과 함수 내에서 어떤 구현이 함수 외부에 영향을 끼치는 경우 해당 함수는 Side Effect가 있다고 이야기 합니다. 즉 Side Effect라는 말을 할 때는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의미합니다. 의도하지 않게 외부변수를 참조하거나 외부변수를 변경하는 모든 종류의 코드를 의미합니다. 다음은 전역 변수 foo를 bar라는 함수가 수정하는 예제입니다. Side Effect의 예시로 보면 될 것 같습니다. let foo = 'hello' function bar(){ foo='world'; } bar() // bar는 side effect를 발생시킵니다. Pure Function (순수 함수) 순수함수는 무엇일까요? 순수함수란 오직 함수의 입력만이 함수의 출력 결과에 영향을 주는 ..

Dev/React 2023. 1. 9. 15:52

Node.js 웹앱의 도커라이징

이 예제는 Node.JS 앱을 Docker에 넣는 방법을 알려줍니다. 이 포스팅은 공식문서 내용을 그대로 압축한것 뿐입니다. Node.js 앱 생성 1. package.json 파일 생성 npm 라이브러리를 설치하기 위한 package.json 파일을 생성한 뒤 "npm install"을 시작해줍니다. 커맨드 순서 touch package.json 다음 내용 삽입 이후 npm install 실행 { "name": "docker_web_app", "version": "1.0.0", "description": "Node.js on Docker", "author": "First Last ", "main": "server.js", "scripts": { "start": "node server.js" }, "de..

Dev/DevOps 2023. 1. 6. 22:33

OAuth - github & Node.JS 구현

실습전에 github 설정을 해야하는데 필요한 코드는 다음 블로그 포스팅을 참고하면 된다. https://velog.io/@d-h-k/Oauth-%EC%B0%8D%EB%A8%B9%ED%95%B4%EB%B3%B4%EA%B8%B0-with-POSTMAN%EC%8B%A4%EC%8A%B5 OAuth 찍먹해보기 (with POSTMAN실습 ) Authorizing OAuth Apps 이거 따라한건데, 막연할꺼같아 POSTMAN으로 실습까지 곁들어 봄OAuth Application 등록하기client_id client_secret 발급받기code 발급받기access_token발급먼저 깃허브에 로그인해주세요우 velog.io 다음은 Github OAuth 와 노드JS를 연동하는 코드다. 1. 위의 게시물을 보고 환경..

Dev/Security 2023. 1. 6. 22:07

OAuth 2.0(Open Authorization 2.0,)

우리가 일상에서 쓰는 소셜 로그인 인증 방식은 전부 OAuth2라는 기술을 바탕으로 구현됩니다. OAuth는 무슨 기술이냐? 라고 물으신다면 OAuth는 인증을 중개해주는 메커니즘입니다. 보안된 리소스에 엑세스하기 위해 클라이언트에게 권한을 제공해주는 프로세스를 단순화한 프로토콜입니다. 그렇다면 소셜 로그인 인증방식은 무엇일까요? 소셜 로그인 인증 방식은 Naver, Kakao, Google, Facebook, Instagram, Github에 있는 로그인정보를 가지고 로그인을 하는 방식이고 이 떄 OAuth 기술을 사용합니다. OAuth는 위에서 말한 서비스들에 이미 정보가 있는 사용자의 인증을 대신해주고, 접근 권한에 대한 토큰을 발급한 후 이를 이용해 인증이 가능해지게 하는 방식입니다. OAuth가..

Dev/Security 2023. 1. 5. 22:13

Node JS - EventEmitters

먼저 이벤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벤트를 생성하고, 연결한 후, 이벤트를 발생시켜서 연결된 로직을 실행하는 기본 기능들을 알아야만 하는데 node.js 에서는 기본적으로 EventEmitter를 생성하고 메소드를 이용해서 이벤트를 관리한다. EventEmitter : node.js 의 모든 이벤트처리가 정의된 기본객체입니다. 이벤트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 객체를 재정의해서 사용해야할 수 있습니다. 즉 이벤트를 만들고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만들어졌습니다. EventEmitter의 함수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emitter.addListener(event, listener): 이벤트를 생성하는 메소드입니다. on() 메소드와 같습니다. emitter.on(event, listener): 이벤트를 생성하..

Dev/NodeJS 2023. 1. 4. 19:39

Node JS - Mini Node Server

Mini Node Server를 구축하기 전에 HTTP 트랜잭션을 분석하고 공부하는 시간을 가지려고 합니다. 서버 생성 모든 Node 웹서버 앱은 웹서버 객체를 만들어야하고 이 때 createServer를 사용합니다. 코드를 보면 http를 require로 가져오고 const server 변수에다가 http모듈의 createServer함수를 담는 것으로 보입니다. const http = require('http'); const server = http.createServer((request, response) => { // 여기서 작업이 진행됩니다! }); 그렇다면 function createServer 코드는 어디서 찾아야할까요? 우선 다음의 순서대로 코드를 확인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http 모듈 c..

Dev/NodeJS 2023. 1. 4. 19:32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다음
TISTORY
Next-BlockChain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