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xt-BlockChai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Next-BlockChain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분류 전체보기 (358)
    • Computer Science (19)
      • OS (3)
      • Network (1)
      • NoSQL (4)
      • DevOps (2)
      • Security (8)
    • Blockchain (94)
      • BlockChain Theory (25)
      • Bitcoin (3)
      • Ethereum (17)
      • Cosmos (4)
      • DeFi (13)
      • DID (3)
      • NFT (7)
      • Oracle - Chainlink (8)
      • Geth_2019_(NAKsir-melody)님자.. (1)
    • Web (13)
      • React (6)
      • NodeJS (4)
      • Echo (2)
    • Programming Language (201)
      • Go (60)
      • Solidity (40)
      • HTML (2)
      • JavaScript (97)
      • CSS (2)
    • 독서 (19)
      • 독후감 (19)
    • 교양 (6)
      • 국어 (4)
      • 영어 (1)
      • 인물 (1)
    • 경제 (0)

검색 레이어

Next-BlockChain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Blockchain

  • Uniswap V2 Protocol 개요

    2023.03.09 by Yongari

  • Uniswap V1 백서 및 코드

    2023.03.09 by Yongari

  • Geth의 실행파일과 디렉토리와 파일 구조

    2023.03.02 by Yongari

  • Ethereum Improvement Proposal - EIP8

    2023.03.02 by Yongari

  • go-ethereum/p2p/discover/v4wire

    2023.03.01 by Yongari

  • Ethereum 노드 아키텍처 (실행 클라이언트와 컨센서스 클라이언트)

    2023.02.25 by Yongari

  • DID와 SSI 그리고 VC, VP에 대한 개념 정리

    2023.02.23 by Yongari

  • DID 와 DIDs(Decentralized identifiers, 탈중앙화 식별자)의 기본 개념들

    2023.02.21 by Yongari

Uniswap V2 Protocol 개요

Uniswap은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업그레이드가 불가능한 스마트 계약 시스템에 구현된 상수 곱 (CPMM)공식으로 작동하는 자동화된 유동성 프로토콜입니다. 중개인에 대한 신뢰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분산, 검열 저항, 보안을 우선시합니다. Uniswap은 GPL 라이선스로 배포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입니다. 각 Uniswap 스마트 계약 또는 페어는 두 개의 ERC-20 토큰의 예비금으로 이루어진 유동성 풀을 관리합니다. 누구든지 풀 토큰을 얻기 위해 기초 자산의 동등한 가치를 예치함으로써 풀의 유동성 공급자(LP)가 될 수 있습니다. 이 토큰은 총 예 비금의 비례 LP 지분을 추적하며, 언제든지 기초 자산으로 교환할 수 있습니다. 위 그림은 유동성 공급을 통한 보상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입니다. A토큰 1..

Blockchain/DeFi 2023. 3. 9. 22:57

Uniswap V1 백서 및 코드

유니스왑(Uniswap)은 이더리움(Ethereum) 기반의 자동화된 토큰 교환 프로토콜입니다. 이는 사용의 용이성, 가스 효율성, 검열 저항성, 그리고 제로 임대료 추출을 중심으로 디자인되었습니다. 유니스왑은 거래자에게 유용하며, 보장된 체인 상 유동성을 요구하는 다른 스마트 계약의 구성 요소로서 특히 잘 작동합니다. 대부분의 거래소는 주문서를 유지하고 구매자와 판매자 간의 매칭을 용이하게 합니다. 유니스왑 스마트 계약은 다양한 토큰의 유동성 예비를 보유하며, 거래는 이러한 예비에 직접적으로 실행됩니다. 가격은 일정한 곱(x*y=k)의 시장 메이커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설정되며, 전반적인 예비를 상대적으로 균형 상태로 유지합니다. 예비는 거래 수수료의 비례적인 점유율에 따라 시스템에 토큰을 제공..

Blockchain/DeFi 2023. 3. 9. 22:02

Geth의 실행파일과 디렉토리와 파일 구조

1. Executables(실행파일) go-ethereum 프로젝트는 cmd 디렉토리에서 찾을 수 있는 여러 래퍼(wrapper) 및 실행 파일들과 함께 제공됩니다. 명령어 설명 geth 우리의 주요 이더리움 CLI 클라이언트입니다. 이더리움 네트워크 (메인, 테스트 또는 프라이빗 넷)로의 진입점으로 작동하며, 전체 노드 (기본값), 아카이브 노드 (모든 기록 상태 보존) 또는 경량 노드 (실시간 데이터 검색)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HTTP, WebSocket 및/또는 IPC 전송 위에 노출된 JSON RPC 엔드포인트를 통해 다른 프로세스가 이더리움 네트워크에 대한 게이트웨이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명령 줄 옵션에 대한 geth --help 및 CLI 페이지를 참조하세요. clef 독립 실행형 서명 ..

Blockchain/Ethereum 2023. 3. 2. 22:51

Ethereum Improvement Proposal - EIP8

v4wire_test.go파일을 읽어보다가 EIP8에 대해서 파악하게 됐습니다. 공부하게된 김에 원문에 있는 내용을 이해하고자 포스팅해봅니다. EIP8: https://github.com/ethereum/EIPs/blob/master/EIPS/eip-8.md GitHub - ethereum/EIPs: The Ethereum Improvement Proposal repository The Ethereum Improvement Proposal repository. Contribute to ethereum/EIPs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Postel(포스텔)의 법칙: https://johngrib.github.io/wiki/jarg..

Blockchain/Ethereum 2023. 3. 2. 22:19

go-ethereum/p2p/discover/v4wire

필요한 사전 지식 UDP: https://ko.wikipedia.org/wiki/%EC%82%AC%EC%9A%A9%EC%9E%90_%EB%8D%B0%EC%9D%B4%ED%84%B0%EA%B7%B8%EB%9E%A8_%ED%94%84%EB%A1%9C%ED%86%A0%EC%BD%9C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UDP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UDP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ser Datagram Protocol, UDP)은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 ko.wikipedia.org TCP: https://ko.wikipedia.org/wiki/%EC%A0%84%EC%86%A1_%EC%A0%9C%..

Blockchain/Ethereum 2023. 3. 1. 22:27

Ethereum 노드 아키텍처 (실행 클라이언트와 컨센서스 클라이언트)

0.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전체적인 개요 이더리움 네트워크는 실행 클라이언트, 컨센서스 클라이언트, 데이터베이스, 스토리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RPC 서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실행 클라이언트: 이더리움 가상 머신을 실행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노드가 트랜잭션을 받으면 실행 클라이언트가 해당 트랜잭션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블록으로 생성합니다. 대표적인 실행 클라이언트로는 Geth, Parity 등이 있습니다. 컨센서스 클라이언트: 분산 시스템에서 노드들이 합의를 이루는데 필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더리움은 PoW(Proof of Work)와 PoS(Proof of Stake) 두 가지 방식을 지원하는데, 컨센서스 클라이언트는 이러한 알고리즘을 구현하고 블록의 유효성을 검증하..

Blockchain/Ethereum 2023. 2. 25. 12:40

DID와 SSI 그리고 VC, VP에 대한 개념 정리

SSI는 무엇일까? SSI(Self-Sovereign Identity) : 자기주권신원이라고도 한다. 제 3자에게 자신을 증명할 수 있는 정보를 맡기지 않고 스스로 관리 및 보관하는 개념이다. DID(Decentralized Identity)는 SSI를 탈중앙화된 방식으로 구현한 기술이고 한국말로 바꿔 말하면 탈중앙화된 신원증명이라고 할 수 있다. 1. DID는 SSI를 블록체인을 통해 현실화한것이다? >>>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 1-1. SSI는 사용자가 스스로 자신의 신원정보를 관리하고 공개범위를 결정하여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개념 1-2. DID는 SSI의 개념을 탈중앙화된 방식으로 구현한 기술 1-3 데이터를 탈중앙화하는 여러 방법 중 하나로 블록체인이 있는 것, 즉 다른 분산원장으로도 DID..

Blockchain/DID 2023. 2. 23. 19:34

DID 와 DIDs(Decentralized identifiers, 탈중앙화 식별자)의 기본 개념들

DID 예시 did : url 스키마 식별자 did method : did 메서드(함수) did method-specific identifier : did 메서드 구분자 did : "did 메서드" : "did 메서드 구분자" did:example:123456789abcdefghi DIDs(탈중앙 식별자) 범용고유식별자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UUID)와 비슷한 개념으로 고유한 아이디 개념이다. DID와 UUID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URL과 동일하게, 주체에 대해 설명하는 일반 자원을 주소 분해하거나 역참조한다. URL을 역참조할 경우 반환하는 리소스와 다르게 DID문서는 일반적으로 DID 주체에 대한 인증을 가능하게 하는 암호학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D..

Blockchain/DID 2023. 2. 21. 17:19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4 5 6 7 8 9 10 ··· 12
다음
TISTORY
Next-BlockChain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